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사회과학 >사회과학기타 >정치외교학
  • 강의학기
    2016년 1학기
  • 조회수
    2,654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이 강의는 민족 및 민족주의의 개념의 변화와 다양성을 통해 민족주의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족주의에 대해 수많은 연구가 등장했지만, 아직도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해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민족은 언제 등장했는가? 고대? 중세? 근대? 서구에서는 근대에 등장했

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한국인들은 고대부터 한민족이 존재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민족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혈연, 문화, 언어, 종교, 지역 등과 같은 객관적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의 민족인가? 아니면 같은 민족이 되겠다는 의지라는 주관적 요소가 중요한가? 이러한

견해차는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

한편 민족주의 개념은 그것이 적용되는 범위와 수준이 매우 다양하다. 독립운동과 같은 정치, 사회운동부터 국가 대항 스포츠 경기에서 자기 나라를 응원하는 정서나 감정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민족주의 개념은 매우 다양하다. 도대체 민족주의를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수

준에서의 민족주의를 의미하는 것인가?이 수업은 이러한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이다. 민족주의 연구자들의 합의된 결론이 없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문제에 대해 모두 합의하는 정답 또는 해답을 찾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의 도움을 통해 이 수업은 우리 나름의 정답 또는 해답을 찾아갈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수업은 먼저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을 다룬다. 첫 번째로 현재 민족주의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간주되는 스미스(Anthony Smith)의 저작을 중심으로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 및 그에 대한 상이한 견해들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 한국의 정치철학자 박동천의 민족 개념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민족 개념의 실체와 한계를 이해한다. 다음으로, 민족주의의 역사를 다루는데, 민족주의와 관련하여 고전적인 텍스트로 간주되는 앤더슨(Benedict Anderson)의 『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ies)를 통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근대론’(modernism)의 시각을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앤더슨의 논의는 왜 사람들이 민족주의라는 의식을 갖게 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지막으로 이 수업은 한국 민족주의를 다룬다. 이를 위해 한국사학계의 민족 인식을 살펴본 후,

근대 이후 한국에서 민족개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해방 이후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과 근의 변화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한국과 서구 민족주의의 동질성과 차별성 및 그 원인을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의 내용들을 탐구함으로써 이 수업은 앞서 제기한 민족주의와 관련된 여러 질문에 대해 ‘우리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