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
1) 문학의 범위, 2) 문학의 갈래, 3) 시가의 형식과 율격, 4) 시대 구분의 방법, 5) 시대 구분의 실제, 6) 고대, 중세, 근세, 근대문학의 맥락, 7) 21세기 문화콘텐츠와 문학 |
|
2. |
|
원시문학. 고대문학 |
1) 원시문학, 2) 고대문학(황조가, 공무도하가, 단군신화, 고주몽신화) |
|
3. |
|
삼국-남북국시대 |
1) 삼국시대의 문학(신라, 고구려, 백제), 2)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통일신라와 발해의 문학) |
|
4. |
|
고려전기 문학(918~1170년) |
1) 고려전기의 신화, 2) 고려전기의 향가의 행방, 3)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 4) 불교문학의 재정립, 5) 설화와 역사 사이, 6) 고려의 귀족문학 |
|
5. |
|
고려후기 문학(1170~1392년) |
1) 무신란·몽고란과 문학, 2) 문학에 관한 논란과 비평의식의 성장, 3) 불교문학의 새로운 경지, 4) 민족사 재인식의 시대, 5) 사람의 일생 서술방법, 6) 속악가사와 소악부의 세계, 7) 설화·무가·연극의 양상, 8) 경기체가·시조·가사의 형성, 9) 사대부문학의 방향과 문제의식 |
|
6. |
|
조선전기 문학1(1392~1592년) |
1) 조선왕조 한문학의 정착, 2) 훈민정음의 창제와 서사시·언해, 3) 악장·경기체가, 4) 시조와 가사의 정착과 성장, 5) 관인문학과 왕조사업의 표리 |
|
7. |
|
조선전기 문학2(1392-1592) |
6) 사림문학과 심성에서 우러나는 소리, 7) 방외인 문학에 나타난 반감의 양상, 8) 불교문학의 시련과 변모, 9) 산문영역의 확대와 소설의 출현, 10) 연희의 양상과 연극의 저류 |
|
8. |
|
조선후기 문학1(1592~1860년) |
1) 민족 수난에 대응한 문학, 2) 정통 한문학의 동요와 지속, 3) 소설시대로 들어서는 전환, 4) 문학의 근본문제에 관한 재검토 |
|
9. |
|
조선후기 문학2(1592~1860년) |
5) 문학담당층의 확대, 6) 실학파문학의 새로운 방향, 7) 민요·민요시·악부시 |
|
10. |
|
조선후기 문학3(1592~1860년) |
8) 시조의 변이와 사설시조의 등장, 9) 가사의 다양한 모습, 10) 한문 기록에서 국문 표현으로 |
|
11. |
|
조선후기 문학4(1592~1860년) |
11) 설화·야담·한문단편소설, 12) 소설의 성장과 변모, 13) 서사무가에서 판소리계 소설까지, 14) 민속극의 저력과 반응 |
|
12. |
|
근세문학(1860~1919년) 현대문학(1919~현재)한국문학사의 마무리 시대구분 |
1) 새로운 형식의 추구와 개화·계몽 의식 → 근대문학, 2) 1920년대 문학의 전개와 특성, 3) 1930년대 문학의 특징, 4) 1940년대 문학의 특징, 5) 분단시대 문학의 특징, 6) 현대문학의 전개, 7) 한국문학사의 마무리와 시대구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