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예술ㆍ체육 >연극영화 >연극영화학
  • 강의학기
    2014년 1학기
  • 조회수
    7,045
  •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한국영화사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이해하고 현존하는 식민지 조선영화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는 수업이다.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문서 수업 소개 한국영화의 개념, 특징, 시기구분 URL
2. 문서 활동사진의 유입 및 정착 (~1919) 한반도에 영화가 유입된 시기는 대략 1900년 전후였다. 그리고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는 대중들 사이에서 점차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URL
3. 문서 연쇄극의 유행 및 관제영화의 제작 (~1923) 1919년 식민지 조선에서는 최초의 연쇄극이 제작되었다. 이후 신파극단에 의한 연쇄극 제작이 유행하여 무성영화 제작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또한, 기록영화와 관제영화의 제작도 이루어졌다. URL
4. 문서 한국영화 제작 이전 시기 세계영화사의 흐름 1900~1910년대 미국영화의 성장 URL
5. 문서 무성영화 제작 시기의 도래 (~1926) 1923년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상업 무성영화가 만들어졌으며, 이후 조선인이 주축이 된 영화 제작사의 설립이 이어졌다. URL
6. 문서 1920년대 조선 무성영화의 경향, 카프영화 (~1931) 1920년대 중반 이후 조선인의 영화 제작 활동은 보다 활기를 띠게 되었으며, 1920년대 후반부터 사회주의 확산의 영향으로 카프영화가 만들어졌다. URL
7. 문서 1930년대 무성 조선영화 제작 및 발성 외국영화 상영 (~1935) 1930년대 들어서는 외국 발성영화의 수입, 상영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나, 제작 측면에 있어서는 무성영화가 지속되었다. URL
8. 문서 중간고사 URL
9. 문서 1930년대 중반 발성영화의 제작 (~1937) / 현존하는 조선 극영화 보존 현황 1930년대 중반 제작되기 시작한 조선 발성영화의 성격을 <미몽>(1936)을 통해 분석한다. 또한, 현존하는 조선 극영화 보존 현황을 전반적으로 파악한다. URL
10. 문서 1930년대 후반 조선영화의 특징 (~1939) 1930년대 후반은 식민지 조선에서 발성영화가 정착되던 때이자,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영화 속에 친일적인 내용이 담겨지기 시작한 시기이다. URL
문서 1940년대 초반 조선영화의 특징 (~1941) 1940년 조선영화령이 공포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영화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되었고, 이를 계기로 친일적 요소는 보다 다양한 양상으로 조선영화에 스며들었다. URL
11. 문서 중일전쟁 이후 영화 정책의 흐름 중일전쟁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정책의 전반적인 양상과 흐름을 이해한다. URL
12. 문서 태평양전쟁 이후 조선영화의 특징 (~1945) 일본의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것을 계기로,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 제작, 배급, 상영이 일원화되었고 내선일체 정책에 따라 조선영화는 보다 적극적으로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드러냈다. URL
13. 문서 태평양전쟁 시기 조선영화와 일본영화의 연관성 당시 조선영화와 일본영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극중 인물 설정 양상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한다. URL
14. 문서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뉴스영화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제작, 배급, 상영된 뉴스영화에 관해 알아본다. URL
15. 문서 종합토론 : 일제말기 식민지 조선의 영화인 / 해방 후 한국영화 특정 영화인의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일제말기 한국영화사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본다. 아울러, 해방 후 한국영화가 이전 시기와 어떠한 면에서 연속성과 단절성을 지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