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인문과학 >언어ㆍ문학 >불어불문학
  • 강의학기
    2013년 2학기
  • 조회수
    4,744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현대는 영상의 시대이며 현대인은 Homo Videocus라고도 정의된다. 이 강의에서는 문화의 한 양태로서 영상이 가지는 기능, 의미와 가치를 근본적인 문화요소의 차원에서 공부한다. 특히 프랑스가 세계 최초로 영상을 문화의 중요한 매체로 인식하여 그 이론적‧학문적‧예술적 자양분을 공급하고 있다면, 프랑스 영상문화의 이해는 우리 시대의 영상문화를 이해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문화요소로서의 프랑스 영상에 체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수강 학생들이 생활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많은 영상물을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분석‧이해‧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영상 분석능력과 영상문화 이해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신화와 동화의 영상화를 프랑스의 영화 두 편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문서 영상이란 무엇인가? 1. 영상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광고 영상 하나를 구체적인 예로 들어 분석해 본다. 2. 영상, 음성, 문자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영상이 의미하고자 하는 ‘무엇을’과 ‘어떻게’(표현 방법)을 이해한다. 3. 영상의 다양한 특성과 가치의 문제를 생각해 본다. URL
2. 문서 문화론 1. 문화, 영상, 영상문화, 프랑스의 영상문화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를 광고영상의 예를 통해 분석해 본다. 2. 문화의 속성, 어원, 개념 형성의 역사를 살펴본다. 3. 영상문화의 맥락에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등과 관련된 문화의 정체성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을 공부한다. URL
3. 문서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1. 대중문화에 대한 상식과 상대 개념에 따른 다양한 정의를 학습한다. 2. 대중문화와 관련된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살펴본다. 3. 한류에 관한 영상을 토대로 현대 대중문화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URL
4. 문서 동영상의 발명과 초장기 영화 1. 동영상의 발명에 관한 역사적 과정을 간단히 살펴본다. 2. 뤼미에르 형제의 영화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한다. 3. 뤼미에르 형제의 영화와 멜리에스의 영화의 특징을 비교한다. 4. 멜리에스의 영화와 에드윈 포트의 영화의 특징을 비교한다. URL
5. 문서 프랑스 시적 리얼리즘 영화 1. 시적 리얼리즘의 정의, 형성의 문화적 배경과 특성을 살펴본다. 2. 시적 리얼리즘을 이끌어간 주요 감독들과 작품들을 살펴본다. 3. 마르셀 까르네 감독의 <안개 낀 부두>(1938)에 나타난 시적 리얼리즘의 특성을 직접 확인한다. URL
6. 문서 시적 리얼리즘 영화 분석: 라딸랑트 1. 프랑스 영상문화의 대표 장르인 프랑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최초의 문예영화 사조인 시적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쟝 비고의 <라딸랑트>를 분석한다. 2. 리얼리즘 요소인 현실 반영적 측면을 살펴보고 이의 표현으로서 영상언어가 어떻게 성립되는지 공부한다. 3. 영화의 소재에 따른 주제 층위와 표현 층위의 절합(articulation)을 공부한다. URL
7. 문서 신화서사의 영상화: &lt;흑인 오르페&gt;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 해석 1. 그리스 신화 중 오르페우스 서사가 어떻게 영상화 되고 있는가를 다양한 질문을 통해 전체적으로 생각해 본다. 2. 오르페와 유리디스가 영화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신화적 은유 양식을 살펴본다. 3. 이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영상 언어를 신화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URL
8. 문서 신화서사의 영상화: &lt;흑인 오르페&gt;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 해석 1. 시대적 배경과 장소가 현대의 대도시에서 개최되는 카니발로 바뀜에 따라 주요 등장인물들의 죽음이 영상을 통해 어떻게 암시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2. 신화와 영화의 등장인물과 캐릭터 비교를 통하여 영화의 신화 해석에 나타난 특징적 징후들을 공부한다. 3. 인물을 통한 서사의 확장이 어떻게 신화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지 이해한다. URL
9. 문서 신화서사의 영상화: &lt;흑인 오르페&gt;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 해석 1. 신화 서사의 영화적 해석을 위해 영화에 나타난 영상언어를 분석한다. 2. 영상언어를 위한 다양한 미장센, 카메라 이동 등 영화적 기법과 의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3. ‘흑인’과 ‘노래’를 중심으로 영화 서사에 나타난 플라톤주의적 예술관과 사회학적, 존재론적 관점의 주제를 도출한다. URL
10. 문서 동화서사의 영상화: 『아멜리에』 읽기(1) - 신데렐라와 비교를 중심으로 - 1. 영화의 이해를 위한 질문들을 통한 감상의 방향을 설정하고, 영화와 동화 신데렐라의 등장인물과 서사구조를 비교한다. 2. 동화 신데렐라의 관점에서 영화 아멜리에의 등장인물들의 특성을 분석한다. 3. 영화의 등장인물들이 동화의 등장인물들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한다. URL
11. 문서 차시제목: 동화서사의 영상화: 『아멜리에』 읽기(2) - 신데렐라와 비교를 중심으로 - 1. 영화의 주요한 소재가 되는 물을 다양한 장면 분석하여, 물이 아멜리 자신, 아멜리의 내면 심리를 표현하는 영상언어의 소재임을 이해한다. 2. 영화 서사의 진행에 따라 물수제비뜨기가 드러내는 아멜리의 심리적 상태임을 분석한다. 3. 물과 물수제비뜨기의 상징적, 심리적 내면이 니노와 아버지에 대한 아멜리의 이중적 감정임을 영상언어의 분석을 통해 논증한다. 4. 이 과정에서 영화 아멜리에의 서사에 동화 신데렐라의 서사가 그대로 재현된 것임을 이해하고, 여자 주인공의 행동과 심리의 공통점을 도출한다. URL
12. 문서 동화서사의 영상화: 『아멜리에』 읽기(3) - 신데렐라와 비교를 중심으로 - 1. 주인공 니노에 대한 영화의 묘사를 통해 니노가 남성의 상징임을 분석한다. 2. 등장인물들 사이의 소통을 관찰하고 이것이 현대인들의 특성이며 또한 소외와 불소통, 비정상적인 소통임을 확인한다. 3. 영화 서사의 진행에 따라 니노의 취미생활이 동화의 영웅의 행동과 관련됨을 이해한다. 4. 이 영화의 동화적 판타지를 중요한 요소로서 다양한 특수효과를 살펴보고 그 특성과 의미를 규명한다. URL
13. 문서 영상문화에 대한 성찰 1. 영화에 사용된 ‘거리 두기’ 혹은 ‘소격효과’의 다양한 양태로서, 카메라 정면으로 보기/말하기, 빠른 편집, 점프 컷, 예기치 않은 자막 등을 공부한다. 2. 브레이트의 연극이론에서 비롯된 ‘거리 두기’가 이 영화에서는 어떻게 동화적 서사구성을 위해 사용되었는지 이해한다. 3. 이 영화의 도입과 종결의 특수한 양상을 알아보고, 이를 동화 서사의 그것들과 비교한다. 이들 통해 아이러니가 작동된 동화서사의 변형임을 이해한다. URL
14. 문서 동화서사의 영상화: 『아멜리에』 읽기(4) - 신데렐라와 비교를 중심으로 - 1. 영화에 사용된 ‘거리 두기’ 혹은 ‘소격효과’의 다양한 양태로서, 카메라 정면으로 보기/말하기, 빠른 편집, 점프 컷, 예기치 않은 자막 등을 공부한다. 2. 브레이트의 연극이론에서 비롯된 ‘거리 두기’가 이 영화에서는 어떻게 동화적 서사구성을 위해 사용되었는지 이해한다. 3. 이 영화의 도입과 종결의 특수한 양상을 알아보고, 이를 동화 서사의 그것들과 비교한다. 이들 통해 아이러니가 작동된 동화서사의 변형임을 이해한다. 4. 결론으로써 이 영화의 주제의 의미와 가치를 살피고, 영화 이해를 위한 다양한 인문학적 공부가 필요함을 성찰하게 한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