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한국사상의중앙과지방 1부 | 제1강에서는 중앙중심이 아닌 지역의 시각에서 지역사와 지역문화를 조망하면서 상대적 인식과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
한국사상의중앙과지방 2부 | ||||
2. | 지역의문화바로보기-보편성과특수성 1부 | 제2강에서는 지역사와 지역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시각에 대하여 논의할 것인데, 강의에서는 지역민 주체적 시각, 보편과 특수성의 이해, 종합적 성격의 파악 등으로 정리하여 보고자 한다. | ||
지역의문화바로보기-보편성과특수성 2부 | ||||
3. | 쓰여지지않은역사들-자율과공생의촌락공동체문화 1부 | 제3강은 역사에 상세히 기록되지 않았고, 그 가치가 올바로 전승되지 않았던 전통사회의 생활문화사를 자율과 공생의 지혜로 이루어졌던 촌락공동체 문화를 중심으로 살펴볼 생각이다. | ||
쓰여지지않은역사들-자율과공생의촌락공동체문화 2부 | ||||
4. | 지역학의가능성과미래-가치계승과자원활용 1부 | 제4강에서는 제1-3강에서 살핀 고을과 마을의 문화이야기들이 전통적 가치로 계승될 방향과, 미래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이야기하여 보고자 한다. | ||
지역학의가능성과미래-가치계승과자원활용 2부 | ||||
5. | 종합토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