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인문과학 >언어ㆍ문학 >국어국문학
  • 강의학기
    2014년 1학기
  • 조회수
    3,904
  •  
문학은 문학의 역사다. 역사는 시간의 의미있는 흐름이며 그 퇴적이다. 그 흐름과 퇴적 속에서 문학 작품은 전폭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거부되기도 한다. 때로는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면서 같이 흘러간다. 바로 그 시간의 흐름과 같이 흘러간 문학작품의 퇴적이 문학사이다. 그러므로 문학의 궤적과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흐름 즉, 역사를 도외시할 수 없다. 역사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문학의 의미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본 강의는 역사와 문학을 동시에 관조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문서 개화기 문학 개화기 문학의 종류와 시대적 배경 URL
2. 문서 이광수의 생애와 작품 이광수 작품의 의의와 한계 URL
3. 문서 1920년대 소설 문학 1920년대 소설문학의 경향 URL
4. 문서 1920년대 시 문학 1920년대 시문학의 경향 URL
5. 문서 KAPF 문학 KAPF 문학의 성격과 전개양상 URL
6. 문서 1930년대 소설 문학 1930년대 조선 문단의 특징 URL
7. 문서 1930년대 시 문학 1930년대 시문학의 경향 URL
8. 문서 1940년대 전반기와 문학 암흑기 문인들의 대응방식 URL
9. 문서 1940년대 후반기와 문학 해방기 문단의 활동양상 URL
10. 문서 1950년대와 문학 한국전쟁과 문학 URL
11. 문서 1960년대와 문학 4.19와 문학 URL
12. 문서 1970년대와 문학 1970년대 문학의 경향 URL
13. 문서 1980년대와 문학 광주민주화운동과 문학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