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문장의 구성 | 영어와 한국어의 기본구조 이해하기 | ![]() |
![]() |
문장의 구성과 동사의 종류 | 문장의 5형식과 문장전환하기 | ![]() |
|
![]() |
동사의 종류 | 영어품사의 이해와 자동사, 타동사 구별하기 | ![]() |
|
2. | ![]() |
조동사 1 | 조동사의 기능과 구조적특성 | ![]() |
![]() |
조동사 2 | 조동사의 의미와 용법 | ![]() |
|
![]() |
수의 일치 1 | 주어와 동사의 일치 | ![]() |
|
3. | ![]() |
수의 일치 2 | 주의할 수의 일치 | ![]() |
![]() |
시제의 일치 | 시제의 일치 | ![]() |
|
![]() |
시제의 종류 | 시제의 종류 | ![]() |
|
4. | ![]() |
진행형시제 | 진행형문장의 가능여부 | ![]() |
![]() |
수동태 | 수동태문장의 종류 및 전환방법 | ![]() |
|
![]() |
가정법 | 가정법의 종류와 표현방법 | ![]() |
|
5. | ![]() |
부정사 1 | 부정사의 용법 | ![]() |
![]() |
부정사 2 | 부정사의 시제와 형태 | ![]() |
|
![]() |
부정사와 동명사 | 부정사와 동명사의 비교 | ![]() |
|
6. | ![]() |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기능 | ![]() |
![]() |
분사구문 | 분사구문과 부사절의 이해 | ![]() |
|
![]() |
전치사의 기능과 종류 | 전치사의 기능 | ![]() |
|
7. | ![]() |
때와 장소의 전치사 | 때와 장소의 특징에 따라 구별해서 쓰이는 전치사 | ![]() |
![]() |
전치사의 종류 | 전치사의 종류별 기능과 역할 | ![]() |
|
![]() |
접속사의 분류와 기능 | 접속사의 기능: 문장과 문장의 연결이 주요한 기능 | ![]() |
|
8. | ![]() |
접속사의 종류 | 명사절과 부사절의 이끄는 접속사의 종류 | ![]() |
![]() |
관계대명사의 기능과 종류 | 관계대명사의 기능: 접속사의 기능과 대명사의 기능 | ![]() |
|
![]() |
관계대명사 that과 관계형용사 | 서술적용법에 쓰일 수 없는 관계대명사 that과 관계형용사 | ![]() |
|
9. | ![]() |
what과 유사관계대명사 | 명사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what | ![]() |
![]() |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 가산과 불가산의 기준 | ![]() |
|
![]() |
집합명사와 군집명사 | 전체를 단위로 보는 집합명사와 개체를 단위로 보는 군집명사 | ![]() |
|
10. | ![]() |
명사와 관련된 표현들 | other를 이용한 표현법과 특정명사의 표현형태 | ![]() |
![]() |
대명사의 기능 | 위치에 맞는 격형태를 사용해야하는 대명사와 재귀대명사용법 | ![]() |
|
![]() |
지시대명사와 부정대명사 | 앞 문장에서의 내용과 품사를 받는 지시대명사와 부정대명사의 종류 | ![]() |
|
11. | ![]() |
대명사 | 재귀대명사와 양을 나타내는 표현법 | ![]() |
![]() |
부정관사 | 관사의 구별: 발음에 의한 부정관사의 구별 | ![]() |
|
![]() |
정관사 | 정관사를 써야하는 곳 | ![]() |
|
12. | ![]() |
관사의 생략 | 관사를 쓰지 않는 경우: 질병, 학문, 운동경기, 통신, 고유명사 등의 앞 | ![]() |
![]() |
형용사의 용법 | 한정적용법과 서술적용법 | ![]() |
|
![]() |
형용사의 주의할 용법 | 형용사의 어순, 형용사의 후치 | ![]() |
|
13. | ![]() |
부사의 기능과 형태 | 부사의 기능과 위치 | ![]() |
![]() |
비교의 종류와 주의할 표현 | 원급, 비교급, 최상급의 종류 및 형식 | ![]() |
|
![]() |
비교의 특수표현과 관용용법 | 불규칙한 비교급형태와 동일인, 동일물에 대한 표현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