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의 소개 | 교과목 소개 | ||
창원도시인문학 개요 1 | 본 수업에서 다룰 내용 소개 (전반부) | |||
창원도시인문학 개요 2 | 본 수업에서 다룰 내용 소개 (후반부) | |||
2. | 도시 개요 | 도시의 개념과 오늘날의 도시 | ||
도시의 역사 | 도시의 형성과 발전의 역사 | |||
도시계획의 이해 | 도시계획의 개요 및 미래의 도시계획 | |||
3. | 창원의 이모저모 | 창원시 개요 및 주요 특징, 지명 유래 등 | ||
창원의 역사 | 시기별로 살펴보는 창원의 주요 역사 | |||
도시의 통합 | 창원시 통합의 이슈와 전망 | |||
4. | 성산패총과 골포국 | 성산패총과 골포국의 역사와 도시공간 | ||
월영대와 몽고정 | 월영대와 몽고정으로 살펴본 역사와 도시공간 | |||
임진왜란의 격전지 창원 | 임진왜란과 창원의 왜성 및 이순신의 해전 | |||
5. | 창원읍성과 창원대도호부 | 역사속의 창원읍성과 오늘날의 도시공간 | ||
일제강점기의 창원 | 일제에 의한 마산포 개항과 근대도시 진해의 등장 | |||
도시 속의 창원의 인물 | 정열공 최윤덕 장상, 고향의 봄 이원수, 조각가 문신 등 | |||
6. | 문화도시 개요 | 문화도시의 이론과 실제 | ||
문화도시의 실천 | 국내외의 사례로 살펴보는 도시의 문화 정책 | |||
문화공간과 도시문화 | 문화공간과 도시문화 만들기 | |||
문화도시 창원 만들기 | 창원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도시 창원 조성 | |||
7. | 지속가능한 도시의 실천 1 | 지속가능한 도시 이론 및 국내외 사례 | ||
지속가능한 도시의 실천 2 | 지속가능한 도시 이론 및 국내외 사례 | |||
오늘날의 지속가능한 도시 | 현대도시와 지속가능한 발전 | |||
지속가능한 창원 만들기 | 창원의 친환경 관련 제도 및 정책과 사례 | |||
9. | 걷고 싶은 도시와 건강도시 | 도시가로환경과 보행권, 건강도시 | ||
택티컬 어버니즘 | 택티컬 어버니즘을 통한 도시가로환경 조성 | |||
도시가로환경 디자인 | 도시가로환경 공공 디자인 조성 방향 | |||
창원의 가로환경 조성 | 창원의 보행친화 가로환경 조성 노력 | |||
10. | 창원 공단 조성의 역사 | 마산자유무역지역과 창원국가산업단지 | ||
스마트 도시 개요 | 스마트도시 이론과 사례 | |||
미래산업과 스마트도시 창원 | 창원의 미래 산업구조 재편과 스마트도시 창원 만들기 | |||
11. | 도시재생 개요 | 도시재생의 이론과 변천 | ||
도시재생 사례 탐구 | 도시재생 국내외 사례 탐구 | |||
리빙랩과 도시재생 | 리빙랩을 통한 도시재생 | |||
12. | 도시재생 뉴딜사업 |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이해와 사례 | ||
창동원도심 도시재생 | 창동예술촌 사례로 살펴본 창원의 도시재생 | |||
창원 도시재생 현황과 과제 | 창원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사례와 과제 | |||
13. | 근대문화유산 개요 |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을 위한 이론적 배경 | ||
창원의 근대문화유산 | 창원의 근대문화유산 사례 | |||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 방안 | 창원의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 방안 | |||
14. | 도시와 시민참여 | 시민참여의 필요성 및 주요 방법 | ||
시민참여 사례 탐구 | 민관협력 프로젝트 및 도시계획 수립시 주민참여 | |||
창원 으뜸마을만들기 | 창원의 으뜸마을 만들기 사례로 본 시민참여 | |||
15. | 창원의 자연환경 | 창원의 자연환경 현황 및 바다자원의 활용 가능성 | ||
창원의 도시공간 | 창원광장, 임항선그린웨이, 진해소사마을 | |||
창원의 건축문화 | 창원의 건축문화 : 양덕성당, 기적의 도서관, 통일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