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문화의 예술, 전통문화와 세계문화 |
서론:문화의 상대주의적 관점, 전통문화를 배우는 이유 |
|
2. |
|
풍요에 대한 기원의 예술 |
선사인의 풍요에대한 기원은 어떠한 예술을 낳았는가? 그리고 그 흔적은 오늘날 어떻게 이어지는가? |
|
3. |
|
권력에 대한 욕망과 집착의 예술 |
국가발생 후 지배층이 남긴 욕망의 자취는 무엇인가? |
|
4. |
|
삶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불교미술 |
불교는 우리에게 어떤 자극을 주었으며 삼국시대의 불교미술의 모습은 어떠한가? |
|
5. |
|
불교사원(절집)의 구조 |
절 마당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은과 법당의 종류 |
|
6. |
|
부처님 나라를 세우려던 이들의 자취 |
통일신라시대의 유산인 석굴암, 불국사, 성덕대왕신종에 나타난 불교미술 |
|
7. |
|
전환기에 나타난 변방의 예술정신 |
선종의 수용과 함께 변방으로부터 나타난 새로운 문화현상은 신라말/고려초의 불교미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
8. |
|
고려 귀족문화의 정화 |
고려청자와 고려불화는 어떠한 귀족적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가? |
|
9. |
|
중국적 세계관에 젖은 조선 초의 그림 |
성리학적 사회로 접어들면서 중국적 세계관은 조선의 예술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
|
10. |
|
도자기에 나타난 조선의 미, 분청자와 백자 |
분청자와 백자에 나타난 한국적인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
|
11. |
|
조선예술의 자기발견 |
조선후기에 나타난 진겨산수와 풍속화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
|
12. |
|
추사의 고상한 그림, 민중의 솔직한 그림 |
18세기 후-20세기 초의 다양한 예술 현상을 추사류의 그림과 민화를 통해 이해 |
|
13. |
|
건축과 음악을 통해 본 한국적인 아름다움 |
자연스러운, 획일적인 것을 피하는 미의식은 건축과 음악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