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인간의 유래, 동서 고대 문명의 형성과 언어 문자(1. 중국과 중국어의 개념) |
인간 문화 문명의 탄생과 언어문자의 작용과 특성에 대하여 |
|
|
|
인간의 유래, 동서 고대 문명의 형성과 언어 문자(2. 동서 고대 문명의 형성과 언어 문자) |
인류 문화 이래 동서문명에 있어서 언어와 문자가 탄생하기까지 |
|
2. |
|
상(商), 중국 민족과 언어 그리고 갑골문자(甲骨文字)의 생성(1, 이야기가 있는 신화와 설의 시대) |
상황오제로부터 신화 전설의 탄생에 대하여 |
|
|
|
상(商), 중국 민족과 언어 그리고 갑골문자(甲骨文字)의 생성(2. 최초의 왕조, 상(商)과 문자의 탄생) |
청동기시대의 도래와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신성문자 갑골문자에 대하여 |
|
3. |
|
주(周) 1, 인문시대의 도래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언어 문자관(1. 문자 탄생의 원리) |
한자 탄생의 기원과 발전 과정의 연원에 대하여 |
|
|
|
주(周) 1, 인문시대의 도래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언어 문자관(2. 이름[名]을 탐구한 제자백가(諸子百家)) |
인문시대를 연 주나라 제자백가들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의식으로서 언어부정론의 형성 |
|
4. |
|
주(周) 2, 민간의 노래가 문학으로 탄생하다, 시경(詩經)(1. 주대의 문자, 금문(金文)과 대전(大篆)) |
상(商)대에서 서주(西周) 동안 이어온 문자 발전 양상에 대하여 |
|
|
|
주(周) 2, 민간의 노래가 문학으로 탄생하다, 시경(詩經)(2. 민간의 노래가 문학으로 탄생하다) |
중국 문학의 시원은 민중의 노래로 시작되며, 그 주제는 인간사회와 애정사가 주류였다. |
|
5. |
|
진(秦),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문자 통일(1. 사상 주장을 담은 우언(寓言)문학의 탄생) |
동물이나 식물 혹은 다른 여러 사물의 인격화를 통해서 풍자(諷刺)와 교훈의 뜻을 나타내는 이야기에 대하여 |
|
|
|
진(秦),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문자 통일(2.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문자 통일의 문화사적인 의의) |
진나라 통일 과정에 있어서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문자 통일이 끼친 문화사적 의의에 대하여 |
|
6. |
|
한(漢), 유교(儒敎)의 국교화와 한자(漢字)의 탄생(1. 진의 멸망과 채륜(蔡倫)의 종이 발명)
) |
진나라 말기, 민란의 발생과 왕조의 교체에 있어서 언어 문자가 끼친 영향에 대하여 |
|
|
|
한(漢), 유교(儒敎)의 국교화와 한자(漢字)의 탄생(2. 허신(許愼) 『설문해자(說文解字)』 )
) |
한(漢)문화의 기틀을 놓은 한나라의 유학 복원 운동, 고문학과 금문학 그리고 한자의 확립 |
|
7. |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불교(佛敎)의 유입과 불립문자(不立文字)(1. 한(漢)의 멸망과 유가(儒家)의 쇠퇴) |
한나라 말기 유가의 퇴조와 도교의 등장, 문학의 자각기에 대하여 |
|
|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불교(佛敎)의 유입과 불립문자(不立文字)(2. 도교(道敎)와 불교(佛敎),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언어관) |
위진남북조 시기 북방 유목문화와 인도로부터 유입된 불교가 중국어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
|
8. |
|
수당(隋唐), 과거제도(科擧制度)와 시(詩), 이백(李白)과 두보(杜甫)(1. 이야기 장르, 소설(小說)의 탄생) |
수당대, 이야기 장르인 소설 장르 탄생의 의미 |
|
|
|
수당(隋唐), 과거제도(科擧制度)와 시(詩), 이백(李白)과 두보(杜甫)(2. 과거제도(科擧制度)와 시(詩)문학의 발전)
) |
과제제도를 통한 황권 강화 정책이 중국문예사 특히 시가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
|
9. |
|
송(宋), 백화(白話)와 서민문학의 발전(1. 민간에 면면히 이어온 노래 전통) |
시경 이래 줄곧 이어져 온 민간의 노래의 전통에 대하여 |
|
|
|
송(宋), 백화(白話)와 서민문학의 발전(2. 백화(白話)와 서민문학의 발전)
) |
수당(隋唐)대 이래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한 서민문학에 대하여 |
|
10. |
|
원(元), 한(漢) 문화의 붕괴와 민간 문화예술의 흥성 그리고 중국 어문(語文)의 한반도 유입(1. 한(漢) 문화의 붕괴와 민간 문화예술의 흥성)
) |
유목왕조 원제국의 한문화 붕괴 과정에 대하여 |
|
|
|
원(元), 한(漢) 문화의 붕괴와 민간 문화예술의 흥성 그리고 중국 어문(語文)의 한반도 유입(2. 한(漢) 중국 어문(語文)의 한반도 유입) |
중국어와 한국어의 지정학적이며 역사적인 밀접한 관계에 대하여 |
|
11. |
|
명(明), 한(漢) 문화의 부활과 장편 소설의 발전, 삼국지와 서유기(1. 명대(明代)의 시대와 문학) |
몽골의 유목문화 풍습을 버리고 한족(漢族)의 한(漢) 문화에로 복고주의 시대 |
|
|
|
명(明), 한(漢) 문화의 부활과 장편 소설의 발전, 삼국지와 서유기(2. 장편소설의 발전, 삼국지와 서유기 )
) |
장회소설이 발전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그 발전 양상 |
|
12. |
|
청(淸), 고증학(考證學)과 문자옥(文字獄) 그리고 왕조시대의 종언과 반성(1. 고증학(考證學)과 문자옥(文字獄)) |
이민족 왕조인 청 왕조에서 한문화 계승을 위한 고증학의 발전 |
|
|
|
청(淸), 고증학(考證學)과 문자옥(文字獄) 그리고 왕조시대의 종언과 반성(2. 왕조시대의 종언과 반성)
) |
왕조시대의 종언과 서양 근대 문예이론의 유입 |
|
13. |
|
신문화운동의 거점, 언어와 문자와 간체자(簡體字)(1. 신문화운동의 거점이 된 언어와 문자) |
아편전쟁 이후 신문화운동의 거점으로서 당시 지식인들이 생각했던 언어와 문자의 작용과 역할에 대하여 |
|
|
|
신문화운동의 거점, 언어와 문자와 간체자(簡體字) (2. 한자 개혁운동의 자취, 간체자(簡體字))) |
표음문자와 표의문자의 비교, 사회주의 중국에 있어서 간체자 운동에 대하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