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1 |
1. 학습 과정 소개
2. 학습 내용 구성
3. 대중과 문화의 의미 |
|
2. |
|
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1 |
1. 주체의 형성Ⅰ
2. 재현(Representation)하고 서술( Narration)함으로써 성립되는 정체성
3. 언어와 재현, 의미의 소통 구조
4. 재현, 담론, 저항의 의미와 상관관계
5. 파편화된 복수적 자아 |
|
|
|
1-2.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1 |
1-2.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1 |
|
3. |
|
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2 |
1. 대중매체의 내용 구성상 특성
2. 대중문화 분석의 전제
3. 문화의 정의 |
|
4. |
|
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2 |
1. 한국 대중문화 전개 과정
2. 대중문화와 소비
3. 정체성과 차이 |
|
|
|
3-4.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2 |
3-4.지금 이곳의 문화 혹은 대중문화2 |
|
5. |
|
대중사회론이 바라본 대중문화 |
1. 대중사회론의 특성
2. 자유주의와 대중문화
3. 대중/엘리트론
4. 아널리즘
5. 매튜 아널드
6. 공유학파
7. 전체주의
8. 미국의 대중문화 찬반론 |
|
|
|
5. 대중사회론이 바라본 대중문화 |
5. 대중사회론이 바라본 대중문화 |
|
6. |
|
재현, 언어, 담론, 그리고 저항 |
1. 재현의 의미
2. 언어와 재현
3. 의미 의사 소통하기
4. 재현 체계의 구성
5. 약호화/ 해독
6. 재현과 담론 |
|
|
|
6.재현, 언어, 담론, 그리고 저항 |
6.재현, 언어, 담론, 그리고 저항 |
|
7. |
|
근대의 시간과 탈근대의 속도 |
1. 시간의 정체
2. 근대적 시간
3. 시계적 시간
4. 화폐적 시간
5. 속도적 시간
6. 탈근대적 시간의 창조 |
|
|
|
7.근대의 시간과 탈근대의 속도 |
7.근대의 시간과 탈근대의 속도 |
|
8. |
|
탈근대적 사고의 창조 혹은 탈주 |
1. 비판적 미디어 읽기
2. 대안 미디어 만들기 |
|
|
|
8.탈근대적 시간의 창조 혹은 탈주 |
8.탈근대적 시간의 창조 혹은 탈주 |
|
9. |
|
근대적 공간과 장소 |
1. 공간의 모더니티
2. 공간의 사회성과 근대적 배치
3. 영토공간의 근대
4. 표상의 근대성 |
|
|
|
9.근대적 공간과 장소 |
9.근대적 공간과 장소 |
|
10. |
|
근대적 공간과 장소 |
1. 표상의 근대성
2. 지도의 근대
3. 화폐의 근대
4. 근대와 다른 공간 |
|
|
|
10. 집합적 기억과 역사의 문제 |
10. 집합적 기억과 역사의 문제 |
|
11. |
|
집합적 기억과 역사 |
1. 기억과 상처
2. 집합과 망각
3. 기억과 유목
4. 기억으로서의 역사
5. 기억에 대항하는 기억
6. 소수적인 역사 |
|
|
|
11.근대적 시선의 체제 |
11.근대적 시선의 체제 |
|
12. |
|
근대적 시선의 체제 |
1. 시선의 체제
2. 투시법과 재현
3. 투시법의 해체, 주체의 해체 |
|
|
|
12.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
12.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
|
13. |
|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
1. 결정론과 상대적 자율론
2. 상부구조
3. 경제결정주의 |
|
|
|
13.구조주의문화론 |
13.구조주의문화론 |
|
14. |
|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
1. 수정된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2. 루카치
3. 프랑크푸르트 학파
4.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비판 |
|
|
|
14.탈구조주의문화론 |
14.탈구조주의문화론 |
|
15. |
|
구조주의 문화론 |
1. 구조주의
2. 언어학적 전환
3. 담론
4. 의미, 차이, 현실의 재구성
5. 내러티브
6. 이데올로기 분석
7. 롤랑 바르트의 신화 읽기
8. 외연/내포(함의)
9. 이데올로기의 주체 형성
10. 구조주의와 대중문화 |
|
|
|
탈구조주의 문화론 |
1.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2. 후기구조주의 |
|
|
|
탈구조주의 문화론 |
1. 포스트모더니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