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오리엔테이션, 뉴미디어 시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1) | 1. 매체의 변화에 따른 시대의 추이 2. 지구촌 새시대 전자문화의 충격 3.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와 심리적 의식의 출현 | ||
뉴미디어 시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2) | 4. 뉴미디어 시대와 기표제국주의 5. 정보와 소통 6. 그물망적 패러다임과 문화주체로서의 대중 7. 대중을 위한 '미학'의 변형 | |||
2. | 한국 발(發) 문화콘텐츠학의 태동과 학문체제 재편의 필요성(1) | 1. 문화의 시대 도래 2.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학의 등장 배경 3. 학문 체제 재편의 필요성과 문화콘텐츠학 |
||
한국 발(發) 문화콘텐츠학의 태동과 학문체제 재편의 필요성(2) | 4.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체계 정립의 필요성 5.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체계정립을 막는 요인들 6. 왜 문화콘텐츠인가? |
|||
3. | 뉴미디어 시대 콘텐츠가 관건이다(1) | 1. 콘텐츠가 바꿔놓은 산업 지형도 2. 콘텐츠란 무엇인가? 3. 콘텐츠 무엇을 품고 있는가? | ||
뉴미디어 시대 콘텐츠가 관건이다(2) | 4. 뉴미디어 시대의 기술과 예술 5. 뉴미디어 시대의 인간조건 6. 예술과 미디어 7. 대중문화와 새로운 예술의 시대 개막 | |||
4. | 변화된 인간조건: 문화인의 문화생활(1) | 1. 시대에 따라 변해온 '문화'의 의미 2. 문화는 소통이다 | ||
변화된 인간조건: 문화인의 문화생활(2) | 3. 문화의 바탕과 문화적 지향성 4. 문화인을 위한 문화콘텐츠 5. 문화생활은 멋들어진 삶, 멋스러운 삶이다 | |||
5. | 문화정체성과 문화 만들기(1) | 1. 문화 정체성 2. 문화 주체의 문화 만들기 | ||
문화정체성과 문화 만들기(2) | 3. 문화의 시대 보이지 않는 자기 자신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4. 학문의 식민지화에서 벗어나기 - 문화 정체성을 찾기 위한 몸부림 5.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회복을 통한 문화 주체성 확립 6. 작은 곳에서 소수의 사람들로부터 시작되는 작은 문화행위 | |||
6. |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에 따르는 어려움(1) | 1. 정부 주도의 법적 "문화콘텐츠" 개념과 그 문제점 2. 학계에서의 "문화콘텐츠" 개념 규정 시도 | ||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에 따르는 어려움(2) | 3. "문화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개념 규정 시도 | |||
7. | 문화콘텐츠학의 이념 검토(1) | 1. 문화콘텐츠학의 이념 검토 2. 활용론의 관점 3. 응용인문학의 관점 | ||
문화콘텐츠학의 이념 검토(2) | 4. 유희론의 관점 5. 문화콘텐츠 연구의 성과와 과제 | |||
8. | 문화콘텐츠학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 모색(1) | 1. 우리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가? 2. 홀로주체에서 서로주체로 | ||
문화콘텐츠학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 모색(2) | 3. 학문[과학]과 방법의 세 가지 연관성 4. 존재론적 방법과 인식론적 방법5. 현대의 학문론과 방법론 6. 미디어 현실과 커뮤니케이션[소통]학의 필요성 | |||
9. |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시대적 필요성(1) | 1. 지구촌 시대의 지구 운명공동체 2. 리프킨의 공감인: 호모 엠파티쿠스 3. 공감적 소통과 공감의 문명 | ||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시대적 필요성(2) | 4. 전자 시대 미디어가 구성하는 현실 5. 커뮤니케이션학의 등장 6. 플루서의 소통학 | |||
10. | 소통의 현실과 소통의 인간[사이-존재]. 소통의 경험과 소통의 검증(1) | 1. '현실'에 대한 관점의 변천과 학문론 2. '소통'은 사이-존재인 인간의 사이하기 | ||
소통의 현실과 소통의 인간[사이-존재]. 소통의 경험과 소통의 검증(2) | 3. 대상으로서 문화콘텐츠 인식과정 4. 학문적 소통의 검증: 공지성(공론장) 그리고 검증 또는 반증원리 | |||
11. | 소통학으로서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1) | 1. 목적론 | ||
소통학으로서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2) | 2. 대상론 3. 방법론 4.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구조 | |||
12. |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연구방법론과 분류(1) | 1. 기획론과 소통의 차림론 2. 차림의 사례: 문화적 정체성을 통한 관광의 기획 3. 제작론과 소통의 새김론 4. 새김의 사례: 탈코드화의 멋으로서 지식과 사물 | ||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연구방법론과 분류(2) | 5. 활용론과 소통의 돌림론 6. 돌림의 사례: 삶을 보여주고 이어주는 축제와 옛길 7. 분석론과 소통의 되새김론 8. 되새김의 사례: 조총련 재일동포 모국방문과 수단의 이태석 신부 | |||
13. | 문화의 세기를 위한 통합학문(1) | 1. 한국 문화의 지구지역화(Glocalization)와 문화콘텐츠학 2. 문화적 지구화와 통합적 세계관 | ||
문화의 세기를 위한 통합학문(2) | 3. 통합(通合) 학문으로서 문화콘텐츠학 4.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을 위한 학문체제의 전망 | |||
14. | 커뮤니케이션학을 넘어 글로벌 소통학으로(1) | 1. 뉴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소통의 지평 2. 문화적 맥락과 커뮤니케이션(소통) 3. 서구인의 커뮤니케이션 | ||
커뮤니케이션학을 넘어 글로벌 소통학으로(2) | 4. 커뮤니케이션학의 형성 5. ‘소통’은 사이-존재인 인간의 사이하기 6. 글로벌 소통학을 지향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