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강의 소개 |
근대 한국의 사상과 문화 이해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본 강좌의 학습 목표, 일정, 방법 등을 소개한다. |
|
2. |
|
천주교 신앙 및 유교와의 충돌(18세기-19세기) |
조선에서 천주교 신앙의 의미, 유교와의 충돌 양상 및 원인, 천주교 관련 문화유적의 의미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
3. |
|
유학자들의 신념과 근대에 대한 배격 및 절충(18세기-19세기) |
조선 말기 유학자들의 이념적 특징, 근대에 대한 배격 및 절충적 태도의 의의와 한계, 유교 관련 문화유적의 의미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
4. |
|
전면적 서구화론자들의 신념과 근대문물의 유입(19세기) |
전면적 서구화론자들의 서구적 근대와 전통에 대한 태도의 의의와 한계, 한말 근대 문물의 유입 양상, 근대문물 관련 문화유적의 의미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
5. |
|
기독교 발전의 동력과 서구 근대문화의 보급(19세기 말-20세기 초) |
한말 기독교가 전파되고 발전하게 된 문화적 제 요인, 기독교의 근대적 교육, 의료, 스포츠 보급 양상 및 관련 유적의 의미를 이야기할 수 있다 |
|
6. |
|
동학의 창조적 전환과 민중의 자각(19세기) |
동학의 전통 및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태도가 갖는 의미, 한말 조선 민중의 존엄성과 주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분투의 과정 및 관련 문화유적의 의미를 이야기할 수 있다 |
|
7. |
|
전통사상의 근대화와 구국을 위한 분투(1910년대) |
민족 전통사상의 근대화를 위한 사상가들의 분투가 지니는 의미, 국권 회복을 위한 민족운동의 전개 양상 및 관련 문화유적의 의미를 이야기할 수 있다. |
|
8. |
|
신문화운동의 이념과 전개(1920년대) |
1920년대 문화민족주의의 사상적 특징, 언론, 출판, 어린이 운동, 백정해방운동 등 신문화운동의 전개 양상 및 관련 문화유적의 의미를 이야기할 수 있다 |
|
9. |
|
이념의 갈등과 조선 민중의 삶(1920-1930년대) |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사상적 특징, 두 진영의 협력 및 대립 양상, 경성을 중심으로 한 조선인들의 생활이 지닌 특징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
10. |
|
신여성의 의식과 연애 풍속도(1920-1930년대) |
일제 강점기 일부 신여성들의 의식세계, 모던보이 모던 걸의 의식세계 및 경성을 중심으로 한 당시의 연애풍속이 지니는 특징을 이야기할 수 있다. |
|
11. |
|
한의 정서와 대중문화(1920-1930년대) |
한민족 특유의 한의 정서가 갖는 특징, 대중가요와 영화에 표출된 한의 정서, 당시 조선인의 대중문화 소비 경향이 지니는 특징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
12. |
|
민족의식과 근대화 사이에서 (1930-1940년대) |
일제 강점기 소비문화의 특징, 독립운동가의 민족의식, 친일파의 근대화론이 지니는 특징, 1930년대 조선학 운동과 1940년대 친일의 양상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