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근대의 시기구분과 새로운 체제 정비 |
시대를 구분한다는 것은 시대정신의 변화를 가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현대의 구분이 갖는 문제들과 그 기점문제를 생각해 본다. |
|
2. |
|
경성에 댄스홀을 허하라 |
근대화의 물결과 더불어 1930년대의 경성은 새로운 도시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생활상의 변화가 시각문화 전반과 미술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
3. |
|
항일과 부일, 그리고 친일의 사이에서 |
일제 36년을 우리는 현재 우리들의 시각으로 너무도 손쉽게 재단한다.
일제 36년간의 체제 순응과 체제 반대라는 것이 함의하는 것을 살펴본다. |
|
4. |
|
전쟁의 상처를 안고 I |
결과적으로 해방은 주어진 것이었다.
이것이 초래한 또다른 민족 비극인 전쟁과 그 상처를 보듬어 나가는 과정을
당시의 화단의 재편과정과 함께 살펴본다. |
|
5. |
|
전쟁의 상처를 안고 II |
결과적으로 해방은 주어진 것이었다.
이것이 초래한 또다른 민족 비극인 전쟁과 그 상처를 보듬어 나가는 과정을
당시의 화단의 재편과정과 함께 살펴본다. |
|
6. |
|
전위의 이름으로 I |
모더니즘의 역사는 새로운 전위로 지속적으로 대체되어 나가는 역사였다.
우리 미술사에서 전위의 이름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들과 전위의 지향점을 살펴본다. |
|
7. |
|
전위의 이름으로 II |
모더니즘의 역사는 새로운 전위로 지속적으로 대체되어 나가는 역사였다.
우리 미술사에서 전위의 이름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들과 전위의 지향점을 살펴본다. |
|
8. |
|
한국적인 것이란? |
한국현대미술의 독특한 특성중의 하나는 지속적으로 우리 것, 한국적인 것을 놓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작가 개인의 차원에서부터 미술계, 그리고 정권의 차원까지 한국적인 것을 지향하는 차원은 다양하다.
이렇게 한국성의 기치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각 시기의 우리 미술계가 지향하였던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지,
과연 한국적인 것을 무엇으로 규정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본다. |
|
9. |
|
민족과 민중의 이름으로 |
미술이 사회에 대해 함구해야 했던 시절을 보낸 후,
80년대를 맞으며 미술은 사회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된다.
그 결과 찾아낸 방법은 민족과 민중의 이름으로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한다. |
|
10. |
|
그래봤자 여자 그래도 여자 |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이 함의하는 의미에 눈뜨기 시작한 80년대
여성 작가들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여성의 위치와 상황에 대해 자각하고 발언하기 시작한다. |
|
11. |
|
악동들의 귀환 |
포스트모더니즘을 통해 유입되기 시작한 중심의 상실, 다원화, 거대담론의 종식 등은
anything goes라는 말이 대변하듯 새로운 세대를 낳았으며, 그들을 통해 미술계는
이전과는 다른 시각언어를 통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
|
12. |
|
다원화 시대의 미술 |
전통적인 방식의 회화나 조각과는 달리 현대의 미술은 장르간 학제간 협력을 통해
다양한 실험들을 이루어 나간다. 그러한 경향을 통해 동시대 미술의 경향을 살펴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