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교과목 및 수업 안내 | 강의 개요 및 수업 방식, 학습 목표, 평가 기준 등을 설명한다. | ![]() |
2. | ![]() |
유럽 신학(1): 18세기(경건주의, 합리주의), 19세기(슐라이어마허) | 18세기 유럽 신학의 주요 흐름인 경건주의와 합리주의를 학습하고, 19세기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적 기여를 분석한다. | ![]() |
3. | ![]() |
유럽 신학(2): 19세기(예수전 연구, 리츨학파, 중교사학파) | 19세기 예수 연구와 리츨학파 및 종교사학파의 신학적 입장을 비교하여 현대 신학과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 ![]() |
4. | ![]() |
유럽 신학(3): 불트만, 바르트, 본회퍼, 몰트만 | 20세기 유럽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들의 사상을 분석하고, 현대 신학 발전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 ![]() |
5. | ![]() |
미국 신학(1): 개혁주의신학, 루터교신학, 중간고사 | 미국 개혁주의 신학과 루터교 신학의 발전 과정과 신학적 특징을 학습하고, 중간고사를 진행한다. | ![]() |
6. | ![]() |
미국 신학(2): 존재의 신학, 급진신학 | 존재의 신학과 급진신학의 주요 개념을 검토하고, 현대 신학에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 ![]() |
7. | ![]() |
미국 신학(3): 신복음주의신학, 근본주의신학, 과정신학, 해방신학 | 신복음주의와 근본주의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과정신학과 해방신학의 주요 논점을 분석한다. | ![]() |
8. | ![]() |
비구미신학(1): 한국 토착화(풍류신학, 윤성범-성신학, 박형룡 신학 | 한국 기독교 신학의 토착화 과정과 다양한 신학적 흐름을 연구하며, 풍류신학, 윤성범의 성신학, 박형룡 신학의 특징과 영향을 탐구한다. | ![]() |
9. | ![]() |
비구미신학(2): 학생발표("내가 만드는 신학사조"), 민중신학,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 | 학생들이 직접 신학사조를 구상하고 발표하며, 민중신학과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을 통해 기독교 신학이 사회적 약자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연구한다. | ![]() |
10. | ![]() |
비구미 신학(3): 여성신학, 탈리트신학, 동물신학, 생태신학, 기말고사 | 여성신학, 탈리트신학, 동물신학, 생태신학을 중심으로 신학이 다양한 사회적 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하며, 기말고사를 진행한다. | ![]() |